본문 바로가기
.exe 악성코드 파일

2012년도 악성코드 제거프로그램 실태조사 결과 (방통위 보도자료)

by 東以 2013. 1. 15.

 

 

아래 내용은 2013년 1월 15일 방송통신위원회 웹사이트 보도자료 게시판의 '2012년도 악성코드 제거프로그램 실태조사 결과,
불량 백신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자들의 주의 요망' 게시글 내용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 원문
악성코드제거_프로그램_실태조사_결과_자료(1.15).hwp

 

악성코드 백신프로그램 10대 이용 수칙

□ 우수 백신 프로그램의 선택 및 설치
① 「국내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 실태조사」에서 선정한 우수 백신 선택하기
    ※ (실태조사 우수 프로그램 선정결과) http://www.boho.or.kr/vaccine.jsp
② 우수 백신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배포하는 백신 설치하기
③ 다른 소프트웨어에 끼워서 함께 설치되는 백신 프로그램 주의하기

□ 백신 프로그램 탐지/치료 기능의 올바른 활용
④ 백신을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주기적으로 검사하기
⑤ 백신 프로그램의 실시간 탐지 기능 켜놓기

□ 유료 결제를 유도하는 불량 백신 프로그램 주의요령
⑥ 사용하지 않던 백신 프로그램이 자동 진단 후 결제를 요구할 경우 삭제하기
⑦ 유료 결제를 요구할 경우 자동연장결제 등 과금 관련 세부 약관 확인하기
⑧ 매월 자동이체 고지서를 확인하여 사용하지 않는 백신 서비스 해지하기

□ 유관기관을 통한 불량 백신 프로그램 대처방법
⑨ 백신 프로그램이 삭제되지 않을 경우 KISA 118 상담서비스 요청하기
    ※ 한국인터넷진흥원 118센터(국번없이 118, www.boho.or.kr)
⑩ 백신 관련 피해가 발생하면 1372 소비자상담센터 및 휴대폰/ARS 결제중재센터를 통해 상담하기
    ※ 1372 소비자상담센터(국번없이 1372, www.ccn.go.kr)
    ※ 휴대폰/ARS 결제중재센터(www.spayment.org : 홈페이지 접수)

우수 백신프로그램 (10개사 11종, 2012. 12. 31기준)
우수 악성코드백신


우수 프로그램 선정 기준

우수 악성코드백신 선정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