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는 흐른다/한국고전11 신윤복 - 미인도 盤薄胸中萬化春 반박흉중만화춘 筆端能與物傳神 필단능여물전신 資薄胸中萬華云 자박흉중만화운 筆端話與把傳神 필단화여파전신 이 조그만 가슴에 서리고 서려 있는 여인의 봄볕 같은 정을 붓끝으로 어떻게 그 마음조차 고스란히 옮겨 놓았느뇨 아찔하게 얇은 가슴 속 온갖 화려함을 .. 2013. 5. 11. 보루각 자격루 이미지 원본 1600 x 1200 출처 : [위키피디아] The user's homepage 공식명칭 보루각 자격루 한자명칭 昌慶宮 自擊漏 종목 국보 제229호 지정일 1985.08.09 분류 고전, 유물 시대 조선시대 주소 서울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물시계는 물의 증가량 또는 감소량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삼국시대.. 2013. 5. 10. 500년 만에 나타난 왕건 청동상 936년 9월, 황산군(지금의 충청남도 연산)의 마성(馬城), 이곳에서 후백제(後百濟)의 신검(神劍)이 고려의 왕건(王建 .. 877~943 재위 918~943)에게 항복하였다. 이로써 삼한(三韓)은 다시 통일되었다. 900년에 견훤(甄喧)이 완산주에서 후백제를 세워 '후삼국시대 (後三國時代)'를 연 지 36년 만에, .. 2013. 5. 7. 송죽재(松竹齋)와 풍월헌(風月軒) 송죽재(松竹齋)와 풍월헌(風月軒) 칠궁의 재실(齋室)인 이 건물에는 현재 <송죽재>와 <풍월헌>이란 두 현액이 걸려 있다. 이를 통하여 이전에는 이와 관련된 두 채의 건물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두 건물의 이름은 영조가 육상궁에 행차할 때 머물렀던 재실인 풍월헌, 그리.. 2013. 4. 27. 이전 1 2 3 다음